“집이나 건물에 대한 서류를 떼야 한다는데,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셨나요?”
요즘은 인터넷으로도 쉽게 건축물대장을 열람하고 발급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건축물대장 무료열람과 무료발급 방법을 하나하나 쉽게 설명드릴게요.
건축물대장이란?
건축물대장이란 건물에 대한 공식적인 정보가 담긴 문서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 건물 주소
- 용도 (주택, 상가 등)
- 층수, 구조, 면적
- 건축 연도 등
📍 어디에 쓸까요?
- 집을 팔거나 살 때
- 부동산 관련 서류 준비할 때
- 상속, 증여 관련
- 세금 신고, 리모델링 신청 시 등
어디서 확인하나요?
가장 쉬운 방법은 정부24(www.gov.kr)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무료로 열람(보기만) 할 수도 있고, 발급(PDF 저장/출력) 도 가능합니다.
인터넷으로 건축물대장 열람 및 발급하는 방법
- 정부24(www.gov.kr) 접속
- 검색창에 ‘건축물대장’ 입력
-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 열람만 할 경우 비회원도 가능
- 발급(출력)하려면 간편인증(카카오, 네이버, PASS 등), 공동인증서 등으로 본인 인증 필요
4. 주소 입력 및 대장 종류 선택
어떤 종류의 건축물대장을 선택해야 하나요?
건축물대장을 신청할 때는 여러 종류가 있어서 어떤 걸 골라야 할지 헷갈릴 수 있어요.
아래 설명을 참고해서 내 상황에 맞는 대장을 선택해보세요!
🔸 총괄표제부
- 무엇인가요?
건물 전체에 대한 정보가 담긴 대장입니다.
(건물 전체를 총괄해서 보여주는 용도예요) - 어떤 건물에 해당되나요?
여러 세대가 나뉘어 있는 다세대주택, 오피스텔 등
🔸 표제부
- 무엇인가요?
개별 건물의 기본 정보(주소, 구조, 층수 등)를 담고 있어요. - 어떤 건물에 해당되나요?
단독주택, 일반적인 상가건물 등
한 채로 되어 있는 건물이라면 이걸 선택하시면 됩니다.
🔸 전유부
- 무엇인가요?
아파트나 오피스텔처럼 건물 안의 각 세대(호수별)의 정보를 담고 있어요. - 어떤 건물에 해당되나요?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등
건물 안에서 개별 공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때 선택하세요.
🔸 대지권
- 무엇인가요?
건물이 있는 땅의 권리 관계를 보여주는 대장입니다.
(이 건물이 어느 땅에 있고, 땅의 소유권이 어떻게 되는지) - 언제 필요할까요?
소유권 확인이 필요한 경우, 부동산 관련 절차에서 종종 요구됩니다.
📝 TIP:
- 단독주택이나 상가 등은 ‘표제부’
- 아파트는 ‘집합건축물대장’의 ‘전유부’
- 헷갈릴 때는 기본 설정대로 진행해도 대부분 문제 없습니다.
- 필요한 건물 정보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을 함께 선택할 수도 있어요.
열람 vs 발급, 무엇이 다른가요?
항목 | 열람 | 발급 |
비용 | 무료 | 무료 |
방법 | 화면에서 보기만 함 | 파일(PDF)로 저장하거나 인쇄 |
법적 효력 | 없음 (참고용) | 있음 (공문서로 사용 가능) |
📌 중요:
- 거래, 신고 등 공식 서류로 제출할 때는 반드시 발급본을 이용하세요.
- 열람본은 정보 확인용으로만 활용 가능합니다.
발급 시 주의사항
- 발급된 PDF에는 **개인정보(소유자 성명, 주민번호 일부)**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공유나 인쇄 시 유의하세요. - 주소 잘못 입력 시 다른 사람 정보가 나올 수 있으므로 꼭 확인하고 발급하세요.
인터넷이 어렵다면? 오프라인 방법도 있어요
인터넷이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가까운 주민센터나 구청에서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분증만 가져가시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 주소를 잘 모르는데도 발급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도로명 주소나 지번 주소 중 하나만 알아도 검색이 가능합니다.
정확한 주소를 모르실 땐 포털사이트 지도(카카오맵, 네이버지도 등) 에서 건물 이름이나 위치를 검색한 뒤, 나오는 주소를 복사해 사용하시면 됩니다.
Q. 건물 주소가 검색되지 않아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간혹 오래된 건물이나 최근에 바뀐 주소의 경우 검색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아래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 지번 주소로 다시 입력해보기
- ‘읍/면/동’ 단위까지 입력하고 자동완성 목록에서 선택
- 주소 맨 끝에 ‘길’, ‘로’, ‘번길’ 등을 정확하게 입력
그래도 안 된다면 시·군·구청 건축과 또는 1588-2188(정부24 고객센터) 에 문의하시면 도움받을 수 있어요.
Q. 비용이 드나요?
A. 정부24에서는 완전히 무료입니다. 발급 수수료 없습니다.
단, 동사무소(주민센터)에서 직접 발급받는 경우에는 건당(500원)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어요
마무리 한 마디
이제 건축물대장도 인터넷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신청하세요.
굳이 주민센터까지 가지 않아도, 집에서 몇 번의 클릭만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 전조증상 총정리! 헷갈리는 질병 구분법까지 (0) | 2025.04.23 |
---|---|
2025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완벽 가이드 (0) | 2025.04.22 |
유달산 케이블카 가볼까? (예약,요금 정보 및 여행 팁) (0) | 2025.04.21 |
설악산 케이블카,가볼까? 요금·예약·맛집 총정리 (0) | 2025.04.20 |
비타민 D 부족증상, 한국식 식탁에서 채우는 방법 (+레시피)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