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정보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25 | 일정·접수·출제 경향 완벽 정리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은 공무원, 교원 임용, 취업, 대학 입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한국사 자격시험입니다.2025년 한능검 일정과 접수 방법, 시험 준비 꿀팁, 자주 나오는 출제 영역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2025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정📘 제73회시험일: 2월 16일(일)원서접수: 1월 14일(화) 10:00 ~ 1월 21일(화) 17:00시험 종류: 심화 · 기본합격자 발표일: 2월 28일(금)📘 제74회시험일: 5월 24일(토)원서접수: 4월 22일(화) 10:00 ~ 4월 29일(화) 17:00시험 종류: 심화만 시행합격자 발표일: 6월 5일(목)📘 제75회시험일: 8월 9일(토)원서접수: 7월 8일(화) 10:00 ~ 7월 15일(화) 17:00시험 종류: 심화 ·.. 2025. 4. 16.
-게 vs -께 구분 꿀팁 “할게”와 “할께”, “어머님께”와 “어머님게”….. 비슷한 발음에 자주 헷갈리는 표현들!이번 글에서는 특히 많은 분들이 자주 혼동하는 **‘-게’와 ‘-께’**의 차이를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1. ‘-게’는 의지나 미래를 나타낼 때 사용**‘-게’**는 동사 뒤에 붙어,화자의 의지 또는 앞으로의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오늘부터 열심히 할게끝나면 전화 할게이건 내가 줄게📌 주의:“할께”, “갈께”처럼 쓰는 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어미 ‘-게’를 조사 ‘-께’로 잘못 쓰는 오류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께’는 존칭 조사**‘-께’**는 ‘에게’의 높임말로,존중의 대상에게 무엇을 한다거나 드리는 경우 사용됩니다.어머님께 인사드렸어요선생님께 편지를 보냈어요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또한 **.. 2025. 4. 14.
로서 로써 구분 꿀팁 헷갈릴 땐 이 방법 하나면 끝!국어 맞춤법 중에서도 유독 헷갈리는 표현, 바로 **‘로서’와 ‘로써’**입니다.소리도 비슷하고, 문장 속에서 혼용되기 쉬워 자주 틀리는 맞춤법 중 하나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로서’와 ‘로써’의 차이, 쉽게 구분하는 방법, 실제 예시, 그리고 자주 틀리는 표현 바로잡기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한눈에 보는 ‘로서’ vs ‘로써’ 차이표구분뜻 예시대체어로서자격, 지위선생님으로서 책임을 다했다‘자격으로’, ‘~이다’로써수단, 도구노력으로써 성공했다‘수단으로’, ‘사용하여’, ‘~를 가지고’👉 핵심 요약:자격이면 ‘로서’수단이면 ‘로써’‘-를 가지고’로 바꿔서 자연스러우면 '로써' 1. 쉽게 구분하는 꿀팁헷갈릴 때는 해당 자리에 대체어를 넣어보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 2025. 4. 8.
에요 예요 구분 꿀팁 글을 쓰다 보면 "에요? 예요? 뭐가 맞지?" 하고 헷갈리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많은 분들이 혼란스러워하는 "에요"와 "예요"의 정확한 구분법을 알려드릴게요.1️⃣ "에요"는 종결어미입니다먼저, "에요"는 문장을 끝맺는 종결어미입니다.이 종결어미 "에요"는 '이다' 또는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습니다.어간종결어미결합 형태예시이 (이다)에요이에요학생이에요, 책상이에요아니 (아니다)에요아니에요그건 아니에요, 내 탓 아니에요👉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이에요"**는 어간 **'이'**와 종결어미 **'에요'**가 결합된 형태입니다.**"아니에요"**는 어간 **'아니'**와 종결어미 **'에요'**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2️⃣ 받침 유무에 따라 "이에요"와 "예요"로 나뉩니다 자, 이제 .. 2025. 4. 4.
왠지 웬지 구분 꿀팁 글을 쓰다 보면 "왠지"와 "웬지" 중 어떤 것이 맞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해 자주 혼동되지만, 올바른 맞춤법은 "왠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왠지"와 "웬"의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1. "왠지"와 "웬"의 차이"왠지"란?"왠지"는 "왜인지"의 준말로, 이유를 알 수 없지만 그런 느낌이 드는 경우에 사용됩니다.예문:오늘은 왠지 기분이 좋아. (→ 왜인지 기분이 좋아)왠지 불길한 예감이 들어. (→ 왜인지 불길한 예감이 들어)왠지 모르게 긴장돼. (→ 왜인지 모르게 긴장돼)왠지 낯이 익은 사람이야. (→ 왜인지 낯이 익은 사람이야)"웬"이란?"웬"은 "어찌 된"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명사를 꾸밀 때 사용됩니다.예문:웬 바람이 이렇게 세게 불지? (.. 2025. 3. 31.
인용, 기각, 각하의 차이 완벽 정리 (쉽게 설명!) 법률 용어 중 인용, 기각, 각하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 있나요? 법원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인데, 일반인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 용어의 차이를 아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1. 인용이란? **"너 말이 맞아!"**라는 뜻입니다.법원에서 소송을 제기한 사람(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였을 때 ‘인용’이라고 합니다.즉, 법원이 "네가 낸 소송 이유가 맞으니까 너의 요구를 들어줄게!"라고 인정하는 것입니다.📌 예시A가 B에게 돈을 빌려줬는데 B가 갚지 않았어요. 그래서 A는 B를 상대로 "돈 갚아!"라며 소송을 걸었습니다.법원이 "A의 말이 맞네. B는 돈을 갚아야 해!"라고 판결하면 A의 청구를 인용한 것입니다.2. 기각이란? **"너 말이 틀렸어!"**라는 뜻입니다.소송을 제.. 2025.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