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정보

조선시대 왕 순서와 암기법, '종'과 '조'의 차이

by Nina1990 2025. 3. 29.

조선에는 총 27명의 왕이 있었으며, 이들의 사후(死後)에는 묘호(廟號)가 붙었습니다.

그런데 어떤 왕은 ‘○종’, 어떤 왕은 ‘○조’로 불립니다. 

 

이번 글에서는 27명의 왕 순서와 암기법, 그리고 ‘○종'과 ‘○조’의 차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조선 왕 순서 (27대 왕)

1.태조 2. 정종 3. 태종 4. 세종
5. 문종 6. 단종 7. 세조 8. 예종
9. 성종 10. 연산군(폐위) 11. 중종 12. 인종
13. 명종 14. 선조 15. 광해군(폐위) 16. 인조
17. 효종 18. 현종 19. 숙종 20. 경종
21. 영조 22. 정조 23. 순조 24. 헌종
25. 철종 26. 고종 27. 순종  

 

초성 암기법

 

왕의 초성만 따서 외우는 방식입니다.

 

태정태세문단세 / 예성연중인명선 / 광인효현숙경영 / 정순헌철고순

 

이를 입에 익히면, 조선 왕 27명의 순서를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정보 암기법 

 

태정태세문단세

(조선 초반: 나라를 세우고 기틀을 다짐)

 

조는 치를 시작 했고, 종은 강한 왕이었다. 종은 자를 만들고, 종은 력을 빼앗겼다.

 

👉 태조(조선 건국), 정종(왕위 양위), 태종(왕권 강화, 왕자의 난), 세종(한글 창제), 문종(단명), 단종(숙부에게 왕위 빼앗김), 세조(왕권 강화)

 

예성연중인명선

(조선 중반: 왕권 싸움과 외적의 침입)

 

에 사는 왕이 못을 보며 얼거렸다. "생에서 심할 것은 한 정치야!" 

 

👉 예종(단명), 성종(조선의 법 정비), 연산군(폭군, 폐위), 중종(조광조 개혁 실패), 인종(단명), 명종(을사사화), 선조(임진왜란)

 

 

광인효현숙경영

(조선 후반: 전쟁과 안정, 개혁)

 

장에서 형을 팔던 자가 명한 선택을 해서 련된 기술로 쟁에서 이겨 웅이 됐다.

 

👉 광해군(전쟁 후 개혁, 폐위), 인조(반정으로 즉위, 병자호란), 효종(북벌 추진), 현종(당쟁 심화), 숙종(환국 정치), 경종(단명), 영조(탕평책 실시)

 

정순헌철고순

(조선 말기: 개혁과 대한제국)

 

한 사람이 옷을 입고 길을 따라 향으로 식간에 갔다. 

 

👉 정조(개혁, 규장각), 순조(세도정치 시작), 헌종(단명), 철종(농민 출신 왕), 고종(개혁 시도, 대한제국 선포), 순종(조선 마지막 왕, 한일병합)

 

이야기식 암기법 (예시)

 

태정태세문단세
👉 풍을 만난 정태, 세찬 바람에 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 연중이, 기 많은 명선

 

광인효현숙경영
👉고 속 물  현숙, 효자 경영

 

정순헌철고순
👉 확히 서대로 법을 저히 (순)하자.

 

※ 위의 예시와 같이 이야기를 만들면 더욱 빠르게 암기할 수 있어요!!

 

'종'과 '조'의 차이

 

● '종(宗)'으로 끝나는 왕

'종'은 대개 그 왕조의 계승자나 후계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태종(太宗): 강력한 왕이었지만, 개국 세력이 이미 존재했기에 ‘조’가 아닌 ‘종’
  • 세종(世宗): 가장 위대한 왕 중 하나지만, 기존 왕조 체제에서 발전했기에 ‘종’
  • 숙종(肅宗), 철종(哲宗), 순종(純宗) 등 대다수의 왕들이 ‘종’으로 마무리됨

● '조(祖)'로 끝나는 왕

'조'는 왕조의 기틀을 닦거나 중요한 개혁을 단행한 왕에게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태조(太祖): 조선을 건국한 왕
  • 세조(世祖): 왕위를 찬탈했지만, 왕권 강화를 이루고 국가 체제를 정비
  • 선조(宣祖): 임진왜란 당시 국난을 극복
  • 인조(仁祖): 반정을 통해 광해군을 폐위하고 새로운 정치체제 구축
  • 영조(英祖): 탕평책을 시행해 당파 싸움을 완화
  • 정조(正祖): 개혁 군주로서 규장각 설치, 경제 및 문화 발전

● 예외적인 사례

  • 단종(端宗), 연산군(燕山君), 광해군(光海君) → 이들은 폐위되어 왕으로 인정받지 못함
  • 고종(高宗), 순종(純宗) → 대한제국 황제로 즉위했으므로 '종'이 붙었음

 

이상으로 조선시대 왕 순서 및 암기법,‘○종'과 ‘○조’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25 | 일정·접수·출제 경향 완벽 정리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은 공무원, 교원 임용, 취업, 대학 입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한국사 자격시험입니다.2025년 한능검 일정과 접수 방법, 시험 준비 꿀팁, 자주 나오는

nina1990.tistory.com

 

든지 던지 구분 꿀팁

항상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있죠? 한번 기억했다가도 시간이 지나면 또 잊어버리곤 합니다. 특히 "든지"와 "던지"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사용법이 완전히 다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든지"

nina1990.tistory.com

 

 

에요 예요 구분 꿀팁

글을 쓰다 보면 "에요? 예요? 뭐가 맞지?" 하고 헷갈리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많은 분들이 혼란스러워하는 "에요"와 "예요"의 정확한 구분법을 알려드릴게요.1️⃣ "에요"는 종결어

nina1990.tistory.com

 

 

왠지 웬지 구분 꿀팁

글을 쓰다 보면 "왠지"와 "웬지" 중 어떤 것이 맞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해 자주 혼동되지만, 올바른 맞춤법은 "왠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왠지"와 "웬"의 차이

nina1990.tistory.com

 

 

되 돼 구분 꿀팁

많은 사람이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되’와 ‘돼’입니다. 특히 글을 작성할 때 이 두 표현을 혼동하면 문장의 의미가 어색해질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되’와 ‘돼’의 차이

nina1990.tistory.com

 

'교육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요 예요 구분 꿀팁  (0) 2025.04.04
왠지 웬지 구분 꿀팁  (0) 2025.03.31
인용, 기각, 각하의 차이 완벽 정리 (쉽게 설명!)  (0) 2025.03.30
되 돼 구분 꿀팁  (0) 2025.03.30
든지 던지 구분 꿀팁  (0) 2025.03.28